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세플라스틱 섭취량 심각한데 어떻게 줄일까?

by Wind Travels 2024. 11. 27.
반응형

미세플라스틱이 얼마나 심각한지 이제야 실감하고 있다. 예전에는 '그냥 조그만 플라스틱 조각이겠지'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최근 연구 결과들을 보면서 정말 놀랐다. 우리가 일주일에 섭취하는 미세플라스틱이 신용카드 한 장 정도라고 하니 상상이 되는가. 더 무서운 건 이게 우리 몸에서 분해되지 않고 계속 쌓인다는 거다.

내가 찾아보고 실제로 실천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줄이는 방법들을 공유해보겠다.

1. 물 마시기
가장 큰 문제는 생수다. 페트병에 담긴 물을 마실 때마다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몸으로 들어온다. 1리터의 생수에 평균 325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있다고 한다. 더 무서운 건 뜨거운 곳에 둔 생수다. 여름철 차 안에 둔 생수는 절대 마시지 말자. 열을 받으면 미세플라스틱 용출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실제로 써본 해결책:
- 유리병이나 스테인리스 물병 사용하기
- 정수기 물을 끓여서 식혀 마시기
- 수돗물도 잠깐 끓여서 마시면 의외로 괜찮다
- 외출할 때는 텀블러 필수로 들고 다니기

2. 차와 커피
티백이 엄청난 미세플라스틱의 원인이다.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터로 만든 티백 하나에서 116억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온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 충격 받았다. 게다가 뜨거운 물에서 더 많이 용출된다.

내가 시도해본 대안:
- 종이 티백으로 바꾸기
- 찻잎을 직접 우려 마시기
- 커피는 종이필터 사용하기
- 스테인리스 티볼 사용하기




3. 해산물 섭취
바다 생선, 특히 조개류가 문제다. 조개는 물을 걸러 먹이를 섭취하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체내에 축적한다. 내가 좋아하는 굴이나 홍합도 이제는 조심스럽다.

현실적인 대처법:
- 조개류는 일주일에 1-2회로 제한
- 해산물을 먹을 때는 항산화 식품을 같이 섭취
- 내장은 가능한 제거하고 먹기

4. 음식 보관
플라스틱 용기에 음식을 담아두면, 특히 기름진 음식이나 뜨거운 음식일 때 미세플라스틱이 용출된다.

실천 중인 방법:
- 유리 용기로 전면 교체
- 스테인리스 도시락통 사용
- 남은 음식 보관할 때는 식힌 후에 담기
- 전자레인지 사용할 때는 반드시 내열 유리 용기 사용

5. 생활 속 실천
결국 우리가 버린 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이 되어 돌아온다.

일상에서 할 수 있는 것들:
- 장바구니 사용하기
- 비닐봉지 대신 종이봉투나 천주머니 사용
- 일회용품 거절하기
- 재활용 철저히 하기
- 플라스틱 대신 천연소재 제품 사용하기

확실한 건 완전히 피하기는 불가능하다는 거다. 그래도 조금씩이라도 줄여나가는 게 중요하다. 나도 처음에는 귀찮았는데, 이제는 습관이 되어서 그리 어렵지 않다. 건강도 지키고 환경도 보호하는 거니까 이정도 수고는 해볼 만하지 않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