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지갑 주소 보는 법 & 찾는 법 (업비트,빗썸,하드웨어 지갑, 메타마스크)
“내 지갑 주소는 어디서 확인하지?”
"거래소랑 개인 지갑 주소가 다른가?”
같은 궁금증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코인 지갑 주소를 찾는 방법과 확인하는 법을 쉽게 설명해볼게요.
1. 코인 지갑 주소란?
코인 지갑 주소는 암호화폐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식별 번호예요. 은행 계좌번호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일반 숫자가 아니라 알파벳과 숫자가 조합된 긴 문자열로 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 이더리움(ETH) 지갑 주소는 이렇게 생겼어요.
0x5A2cB23dA2bE9F23aFbD8...
비트코인(BTC) 주소는 형식이 조금 다를 수도 있어요.
bc1qxy2kgdygjrsqtzq2n0yrf2...
지갑 주소의 특징
- 블록체인 네트워크마다 주소 형식이 다름 (비트코인, 이더리움, 바이낸스 등)
- 한 번 생성된 지갑 주소는 변하지 않음 (거래소 일부 제외)
- 주소 입력을 잘못하면 코인이 사라질 수도 있음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2. 거래소에서 내 지갑 주소 확인하는 방법
많은 사람들이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같은 거래소 지갑을 이용해요. 거래소에서 내 지갑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① 업비트에서 내 지갑 주소 찾는 법
1. 업비트 앱 실행 & 로그인
2. 하단 메뉴에서 [입출금] 클릭
3. 입금하려는 코인 선택 (예: 비트코인)
4. [입금 주소] 확인 – 내 지갑 주소가 나옴
5. 복사 후 사용 (송금할 때 붙여넣기)
💡 주의할 점:
코인마다 주소가 다름 (비트코인 주소와 이더리움 주소가 다름)
네트워크 선택 필수 (ERC-20, BEP-20 등)
② 빗썸에서 내 지갑 주소 찾는 법
1. 빗썸 앱 실행 & 로그인
2. [입출금] 메뉴로 이동
3. 원하는 코인 선택 (예: 이더리움)
4. [입금 주소 확인] 클릭
5. 주소 복사 후 사용
⚠️ 거래소 주소 주의사항
✔ 거래소 지갑 주소는 보관용보다는 거래용으로 사용
✔ 일부 거래소는 코인 입금 시 ‘태그(Memo)’ 입력 필요 (리플, 스텔라 등)
3. 개인 지갑(메타마스크, 하드웨어 지갑)에서 주소 확인하는 방법
개인 지갑을 사용하면 내가 지갑의 완전한 소유권을 갖고 관리할 수 있어요. 대표적인 개인 지갑인 메타마스크, 트러스트 월렛, 하드웨어 지갑에서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① 메타마스크에서 내 지갑 주소 찾기
1. 메타마스크 앱 실행 (PC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도 가능)
2. 로그인 후 상단에 지갑 주소 표시 (0x로 시작하는 주소)
3. 주소를 클릭하면 자동 복사됨
4.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 메타마스크 네트워크 변경 방법
기본 네트워크는 이더리움(ETH)
BNB, 폴리곤 같은 네트워크 추가 가능 (설정 → 네트워크 추가)
② 트러스트 월렛에서 내 지갑 주소 확인하는 법
1. 트러스트 월렛 앱 실행
2. 원하는 코인 선택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3. [받기] 버튼 클릭 → QR 코드 & 주소 표시
4. 주소 복사 후 사용
💡 트러스트 월렛은 멀티체인 지원 (비트코인,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등)
③ 하드웨어 지갑(레저 나노, 트레저)에서 내 주소 확인하기
1. Ledger Live(레저 라이브) 앱 실행
2. [Receive] 버튼 클릭
3. 연결된 지갑에서 주소 확인 후 복사
💡 하드웨어 지갑은 오프라인 상태라 해킹 위험이 낮음
4. 코인 지갑 주소 찾을 때 주의할 점
① 네트워크 선택 필수
같은 코인이라도 네트워크가 다르면 주소가 다름
ERC-20(이더리움), BEP-20(바이낸스), TRC-20(트론) 중 올바른 네트워크 선택
② 주소 직접 입력 금지 – 항상 복사 & 붙여넣기
오타가 나면 코인을 잃어버릴 수 있음
반드시 주소 복사 후 붙여넣기 할 것
③ 일부 코인은 추가 정보 필요 (태그, Memo 필수)
리플(XRP), 스텔라(XLM), 이오스(EOS) 등은 추가 메모(Tag, Memo) 입력 필요
Memo를 입력하지 않으면 입금이 되지 않을 수도 있음
④ 테스트 전송 먼저 하기 (소액 보내기)
큰 금액을 전송할 때는 테스트로 소량(예: 0.001 ETH) 전송 후 확인
문제가 없으면 나머지 금액을 전송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거래소에서 개인 지갑으로 보내려면 주소만 있으면 되나요?
✔ 네, 하지만 네트워크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해요.
✔ 예를 들어, 이더리움을 BEP-20으로 보낼 경우 개인 지갑이 BSC 네트워크를 지원해야 함.
Q2. 코인을 잘못된 주소로 보냈어요. 복구할 수 있나요?
✔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에서는 복구 불가능.
✔ 같은 거래소 지갑 간 착오일 경우 거래소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복구 가능할 수도 있음.
Q3. 내 지갑 주소는 한 번만 생성되나요?
✔ 개인 지갑(메타마스크, 트러스트월렛)은 주소가 변경되지 않음.
✔ 거래소 지갑은 일부 코인의 경우 주소가 변경될 수도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Hr302/btsMhPyhkdO/BceI8Lsm68PlqEmhn30znK/tfile.jpg)
6. 마무리 – 내 지갑 주소를 정확하게 확인하자!
코인 거래를 할 때 지갑 주소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거래소, 개인 지갑에서 주소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선택과 주소 복사가 필수라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이제 본인의 지갑 주소를 찾아서 안전하게 코인을 관리해보세요!